맨위로가기

타이콘데로가급 순양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타이콘데로가급 순양함은 1980년대부터 미 해군에서 운용된 유도 미사일 순양함이다. 소련의 초음속 미사일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이지스 전투 시스템을 최초로 탑재하여 대공 방어 능력을 크게 향상시켰다. 스프루언스급 구축함의 선체를 기반으로 설계되었으며, Mk 41 수직 발사 시스템을 장착하여 다양한 미사일을 운용할 수 있다. 27척이 건조되었으며, 2020년대 초반부터 순차적으로 퇴역하여 알레이 버크급 구축함과 DDG(X)로 대체될 예정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순양함 - 버지니아급 순양함
    버지니아급 순양함은 소련 해군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1970년대 미국 해군에서 운용된 핵추진 순양함으로, 4척이 건조되었으나 높은 운영비와 국방 예산 감축으로 1990년대 초 조기 퇴역했으며 Mk.26 GMLS, Mk.45 5인치 함포 등의 무장과 C4ISR 체계, 쇄파 갑판형 선체, D2G 원자로 2기를 탑재했다.
  • 순양함 함급 - 키로프급 미사일 순양함
    키로프급 미사일 순양함은 소련 해군이 건조한 원자력 추진 순양함으로, 강력한 무장과 스텔스 설계를 통해 미국 해군 항모 강습단에 대응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 순양함 함급 - 버지니아급 순양함
    버지니아급 순양함은 소련 해군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1970년대 미국 해군에서 운용된 핵추진 순양함으로, 4척이 건조되었으나 높은 운영비와 국방 예산 감축으로 1990년대 초 조기 퇴역했으며 Mk.26 GMLS, Mk.45 5인치 함포 등의 무장과 C4ISR 체계, 쇄파 갑판형 선체, D2G 원자로 2기를 탑재했다.
타이콘데로가급 순양함 - [배(Ship)]에 관한 문서
개요
USS 레이크 챔플레인
함급유도 미사일 순양함
건조잉걸스 조선소
배스 철공소
운용 국가미국 해군
이전 함급스트라이크 순양함 (계획 취소)
버지니아급 순양함 (실제)
이후 함급CG(X) (계획 취소)
알레이버크급 구축함 Flight III (실제)
DDG(X) (계획)
건조 기간1980년–1994년
취역 기간1983년–현재
총 건조 척수27척
총 계획 척수해당 없음
총 취역 척수27척
총 취소 척수해당 없음
총 활동 척수9척
총 손실 척수0척
승조원장교 30명, 사병 300명
척당 비용~10억 달러 (1994년 마지막 함선 기준)
퇴역18척
예비군9척
특징
함종유도 미사일 순양함
배수량만재 9,800톤
길이173m
16.8m
흘수10.2m
추진Ticonderoga급 순양함 추진 시스템
속도30+ 노트
항속 거리Ticonderoga급 순양함 항속 거리
승선 인원Ticonderoga급 순양함 승선 인원
센서Ticonderoga급 순양함 센서
전자전 장비AN/SLQ-32 전자전 장비
Mark 36 SRBOC
AN/SLQ-25 Nixie
무장CG-4751
Ticonderoga급 순양함 무장 마크 26
CG-5273
Ticonderoga급 순양함 무장 마크 41
장갑제한적인 케블라 파편 방호 (주요 구역)
탑재 항공기Ticonderoga급 순양함 항공기
함선 목록
CG-47USS 티콘데로가 (CG-47)
CG-48USS 요크타운 (CG-48)
CG-51USS 토마스 S. 게이츠 (CG-51)
CG-62USS 로버트 스몰스 (CG-62)
참조
참조CG-47 티콘데로가 (급) (미국 과학자 연맹)
10년간의 논쟁 끝에, 순양함이 5년 안에 함대에서 퇴역할 예정 (usni.org)
미 해군이 아시아에 더 많은 미사일을 배치하기 위해 고군분투함에 따라, 노후 순양함에 대한 어려운 결정이 임박함 (defensenews.com)

2. 역사적 배경

타이콘데로가급은 원래 DDG-47이라는 함번을 부여받은 유도탄 구축함으로 계획되었다. 이는 미 해군 작전 참모총장 엘모 줌월트 제독이 추진한 "하이-로우 믹스" 전략의 일환으로, 비교적 저렴한 스프루언스급 구축함의 선체를 기반으로 하여 새로운 이지스 전투 시스템을 탑재하기 위한 플랫폼으로 구상되었다. 초기 구상에서는 더 크고 강력한 타격 순양함(CSGN)을 보조하는 역할을 맡을 예정이었다.

그러나 기함 역할을 수행할 예정이었던 타격 순양함(CSGN) 계획과 그 축소 대안이었던 CGN-42(버지니아급 선체 기반) 계획이 비용 문제 등으로 취소되면서, 이 함급에 기함 기능 등 추가적인 역할이 요구되었다. 이러한 변경 사항을 반영하여 1번함 건조 중이던 1980년, 함종이 유도탄 순양함(CG-47)으로 공식 변경되었다.[4] 이로써 타이콘데로가급은 함대의 주력 방공함이자 고급 전투함으로 자리매김했으며, 이후 알레이 버크급 구축함이 도입되면서 상대적으로 저렴한 함선 역할을 맡게 되었다.[5]

CG-52 함선부터는 Mk 41 수직 발사 시스템이 장착되어 전투 능력이 향상되었다. 하지만 이지스 전투 시스템 탑재와 순양함으로서의 역할 추가로 인해 스프루언스급 구축함에서 파생된 선체에는 상당한 무게 부담이 가해졌고, 이는 향후 성능 개량을 위한 무게 및 동력 여유 공간 확보에 제약을 가져왔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생존성을 높이기 위해 1980년대에는 알레이 버크급 구축함(DDG-51)과 유사한 설계 및 건조 기술을 적용하여 CG-52의 기능을 수용하는 새로운 선체 설계 연구(순양함 베이스라인, CGBL)가 진행되기도 했다.[6]

현재 타이콘데로가급은 지속적으로 업그레이드된 알레이 버크급 구축함이 그 역할을 대체함에 따라 더 이상 건조되지 않고 있으며, 초기 건조된 5척은 퇴역한 상태이다.

2. 1. 이지스 시스템의 개발

1960년대, 미 해군은 소련의 초음속 미사일 개발과 같은 새로운 위협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대공 방어 능력 향상을 모색했다. 특히 미사일에 의한 요격 능력을 강화할 필요성을 느끼고, 1960년대 중반부터 탄도 미사일 방어와 대공 방어 능력을 통합한 새로운 방어 시스템 개발 연구를 시작했다. 이 연구는 이후 이지스 시스템(AEGIS: Advanced Electronic Guidance Information System, 첨단 전자 유도 정보 시스템) 개발로 이어졌다.

이지스 시스템 개발의 주요 목표는 다음과 같았다.

  • 동시 교전 능력 향상: 다수의 표적을 동시에 탐지, 추적하고 교전할 수 있는 능력 확보.
  • 반응 시간 단축: 위협 탐지부터 요격까지 걸리는 시간을 최소화하여 신속하게 대응.
  • 자동화: 시스템 운용의 자동화 수준을 높여 운용 인력 부담을 줄이고 효율성 증대.
  • 생존성 향상: 적의 공격에도 시스템 기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생존 능력 강화.


이지스 시스템 개발은 여러 단계를 거쳐 진행되었다. 초기 연구 단계에서는 시스템의 기본 개념을 설계하고 필요한 구성 요소들을 개발했다. 이후 실제 성능을 검증하기 위한 다양한 실험과 평가를 진행하며 시스템 설계를 지속적으로 개선했다.

1969년, 미 해군은 이지스 시스템의 성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설계된 새로운 함선, 즉 타이콘데로가급 순양함의 설계를 시작했다. 1970년대에 들어서면서 이지스 시스템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개발이 본격화되었고, 시스템과 연동될 미사일레이더 등 관련 무기 체계 개발과 함께 광범위한 시험을 통해 성능 검증이 이루어졌다.

1983년, 마침내 이지스 시스템을 탑재한 첫 번째 순양함인 USS 타이콘데로가가 취역했다. 이후 이지스 시스템은 미 해군 주력 함정의 핵심적인 미사일 방어 체계로 자리 잡았으며, 지속적인 개량을 통해 성능을 향상시켜 왔다. 특히 탄도 미사일 요격 능력이 꾸준히 강화되었고, 이를 위해 SM-3 미사일과 같은 새로운 요격 미사일이 개발되기도 했다. 이지스 시스템은 미국뿐만 아니라 동맹국에도 수출되어, 일본의 해상 자위대를 포함한 여러 국가의 해군에서 중요한 방어 시스템으로 운용되고 있다.

2. 2. 원자력 추진함 계획과 좌절

실현되지 못한 원자력 순양함 CGN-42의 상상도


원래 이지스 시스템은 차세대 원자력 미사일 구축함(DXGN) 후기 함선에 탑재될 예정이었다. 그러나 1970년 미국 해군 작전참모총장으로 취임한 엘모 줌월트 주니어 제독은 이 계획을 수정하여, 더 작고 경제적인 가스터빈 엔진을 사용하는 구축함(DG/Aegis)에 이지스 시스템을 탑재하는 방안을 추진했다. 하지만 1974년 제임스 할로웨이 3세 제독이 신임 해군 작전참모총장이 되면서, 계획은 다시 원자력 함선에 이지스 시스템을 싣는 방향으로 변경되었다.

당시 DXGN 계획을 발전시킨 버지니아급(DLGN-38급) 원자력 순양함이 이미 건조 중이었지만, 기존 버지니아급 선체에 이지스 시스템을 그대로 통합하기는 어려웠다. 이에 따라 이지스 시스템 탑재에 최적화된 새로운 원자력 미사일 구축함(DG(N)) 계획이 시작되었고, 1974년 1월 기준으로 만재 배수량 10708ton 규모로 구상되었다. 그러나 같은 해 7월, 할로웨이 제독은 이 DG(N) 계획마저 너무 소극적이라며 중단시키고, 훨씬 더 강력한 원자력 타격 순양함(CSGN) 계획을 밀어붙였다. 1975년 5월에 개념 설계가 완료된 CSGN은 만재 배수량 12700ton에 달하는 강력한 전투함이었지만, 건조 비용 또한 엄청나게 비쌀 것으로 예상되었다.

결국 높은 비용 문제로 인해, 과거 줌월트 제독이 검토했던 가스터빈 엔진 추진 미사일 구축함 방안이 다시 떠오르게 되었다. 해군은 고성능의 CSGN 8척과 상대적으로 저렴한 재래식 동력 미사일 구축함(DDG) 16척을 함께 건조하는 이른바 '하이-로우 믹스' 전략을 추진하기로 했다. 이때 계획된 재래식 동력 미사일 구축함(DDG)은 스프루언스급 구축함의 선체를 기반으로 설계되었으며, 이것이 바로 타이콘데로가급 순양함의 직접적인 기원이 된다. DDG는 1977년 회계연도 예산부터, CSGN은 1978년 회계연도 예산부터 건조가 시작될 예정이었다.

하지만 미국 의회는 막대한 예산이 소요되는 이 계획에 제동을 걸었다. 의회는 CSGN 신규 건조 대신, 기존의 롱 비치함을 CSGN의 프로토타입으로 개조하도록 예산을 변경했다. 그러나 이 개조 계획마저도 1977년 1월 17일, 제럴드 포드 행정부에 의해 중단되었다. 뒤이어 출범한 지미 카터 행정부는 CSGN 계획 자체를 전면 재검토하도록 지시했다. 대안으로 버지니아급을 발전시킨 CGN-42의 설계가 시작되었지만, 이 역시 순탄치 않았다. 당초 5척 건조 예정이었던 CGN-42는 1978년 3월에는 1983년 회계연도 예산으로 단 1척만 건조하는 것으로 축소되었고, 결국 1981년 2월에는 이마저도 완전히 취소되면서 원자력 이지스 순양함 계획은 최종적으로 좌절되었다.

2. 3. DDG-47에서 CG-47로

타이콘데로가급은 원래 DDG-47이라는 함선 분류 기호의 유도탄 구축함으로 계획되었다. 이는 미 해군 작전 참모총장 엘모 줌월트 제독의 "하이-로우 믹스" 전략에 따라, 스프루언스급 구축함의 선체를 활용하여 새로운 이지스 전투 시스템을 탑재할 저가형 플랫폼으로 구상된 것이다. 초기 계획에서는 이 구축함들이 더 크고 강력한 타격 순양함(CSGN)을 보조하며 기함 역할을 수행할 예정이었다.

1970년대 초, 줌왈트 제독이 검토했던 DG/Aegis 계획은 5000ton급의 COGOG 추진함을 중심으로 논의되었다. 한편, 스프루언스급은 처음부터 미사일 구축함으로의 개조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설계되었기에, 건조를 맡은 리튼·인갈스 조선소는 독자적으로 스프루언스급 선체에 이지스 시스템을 탑재하는 방안을 1974년 해군에 제안했다. 해군은 즉시 채택하지는 않았으나, 외부 컨설팅 회사인 JJMA사에 검토를 의뢰했다. JJMA사는 스프루언스급 선체와 당시 이란 해군이 발주했던 방공함(훗날 키드급으로 미 해군에 편입) 설계를 바탕으로 검토한 결과, 대규모 설계 변경과 여유 공간 재검토가 필요하지만 이지스 시스템 탑재가 가능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이러한 검토 결과를 바탕으로 1975년, 스프루언스급 선체에 이지스 시스템을 탑재하는 계획이 공식적으로 추진되었다. 해군 장비국(NavSea)의 검토를 거쳐 1978년 9월, 리튼·인갈스 조선소가 상세 설계 및 건조 계약을 따내면서 DDG-47급 구축함 건조가 시작되었다.

그러나 이후 타격 순양함(CSGN) 계획과 축소된 대안인 CGN-42(버지니아급 선체 기반) 계획이 모두 취소되면서, 원래 타격 순양함에 부여될 예정이었던 기함 기능 등의 요구 사항이 DDG-47로 옮겨졌다. 늘어난 임무와 성능 요구를 반영하기 위해, 1번함 건조 중이던 1980년 1월 1일, 함종이 유도 미사일 순양함(CG-47)으로 공식 변경되었다.[4] 이로써 타이콘데로가급 순양함은 함대의 주력 전투함으로 자리 잡게 되었고, 이후 알레이 버크급 구축함이 도입되면서 상대적으로 저가형 함선의 역할을 맡게 되었다.[5]

3. 설계

''타이콘데로가''급 순양함의 설계는 스프루언스급 구축함을 기반으로 이루어졌다.[1] 이 함급은 여러 위협을 동시에 탐지, 추적하고 요격 미사일을 유도할 수 있는 이지스 위상 배열 레이더를 중심으로 한 차세대 유도 미사일 전투함으로 개발되었다. 설계 당시 미국 해군에서 가장 강력한 전자전 장비와 최첨단 수중 감시 시스템을 갖추었으며, 모듈 방식으로 건조된 최초의 군함 중 하나이기도 하다.[1]

이지스 시스템 탑재 등으로 함선의 크기와 장비가 늘어나면서 배수량은 기존 스프루언스급 구축함보다 크게 증가했다. 초기 함정 중 일부는 운용 중 구조적 문제를 겪기도 했으나, 이후 수정되었다.[22] 상부 구조는 스프루언스급 구축함의 설계를 변형하여 레이더 안테나를 배치했다.

작전 연구를 통해 인력 감축이 이루어졌으나[1], 초기 5척에 탑재된 Mk 26 미사일 발사 시스템은 이후 Mk 41 수직 발사 시스템(VLS)으로 교체되어 운용 효율성을 높였다.

미 해군은 당초 CG(X) 미사일 순양함으로 ''타이콘데로가''급을 대체할 계획이었으나, 예산 문제로 CG(X) 프로그램은 취소되었고 대신 플라이트 III 알레이 버크급 구축함으로 대체될 예정이다.

초기에 건조된 5척의 Mk 26 발사기 탑재 순양함(CG-47 ~ CG-51)은 모두 퇴역했다. 2003년부터는 후기 22척(CG-52 ~ CG-73)에 대해 전투 능력 유지 및 함선 수명 연장을 위한 개량 작업이 진행되었다. 이 개량에는 이지스 시스템 컴퓨터 및 장비 캐비닛 업그레이드, SPQ-9B 레이더 시스템 업그레이드, 광섬유 데이터 통신 및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VLS의 ESSM 발사 능력 추가 등이 포함된다. 최신 업그레이드 패키지에는 SM-6 및 해군 통합 화력 통제-대공(NIFC-CA) 기능과 개선된 SQQ-89A(V)15 소나 시스템이 포함되며, 척당 최대 2.5억달러가 소요될 수 있다.

3. 1. 선체

USS 벙커힐(CG-52) (후방)와 말레이시아 해군의 ''Lekir''가 말라카 해협에서 훈련 중


타이콘데로가급 순양함(우측)은 스프루언스급 구축함 (좌측)과 동일한 선체로 건조되었다.


타이콘데로가급 USS 레이크 챔플레인(CG-57)의 상부 모습. 함선의 선수와 선미 근처의 회색 상자로 VLS가 보인다.


VLS가 장착되기 전의 USS 타이콘데로가(CG-47)의 모습으로, 선수와 선미에 보이는 이중 암 발사기가 보인다.


''타이콘데로가''급 순양함의 설계는 스프루언스급 구축함을 기반으로 했다.[1] 이 함급은 위협을 동시에 탐지, 추적하고 요격 미사일을 유도할 수 있는 이지스 위상 배열 레이더를 중심으로 설계된 차세대 유도 미사일 전투함으로 도입되었다. 설계 당시 미국 해군에서 가장 강력한 전자전 장비와 최첨단 수중 감시 시스템을 갖추고 있었다. 또한, 하부부터 조립하는 전통적인 방식 대신 모듈 방식으로 건조된 최초의 미국 해군 군함 중 하나였다.[1]

이지스 시스템 탑재와 장비 증가로 인해 배수량은 기반이 된 스프루언스급 구축함의 6,900톤에서 9,600톤으로 크게 늘어났다. 이지스 순양함은 모든 해역에서 항해하며 다양한 작전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그러나 일부 초기 함정들은 극한의 악천후 속에서 장기간 작전을 수행한 후 구조적 문제를 보고했으며, 이는 1980년대 후반부터 1990년대 중반에 걸쳐 수정되었다. 몇몇 함선에서는 상부 구조에 균열이 발생하여 수리가 이루어지기도 했다.[22]

기본적인 선체 구조는 스프루언스급의 설계를 따라 2층의 전통적인 갑판을 갖춘 방파 갑판형을 기본으로 하고, 선미 부분을 잘라낸 긴 선루(船樓) 형태 역시 동일하다. 하지만 이지스 시스템 탑재에 따른 배수량 증가를 감당하기 위해 격벽 갑판을 제1 갑판에서 01 갑판으로 변경했으며, 이에 따라 함내 구획 등도 일부 수정되었다. AN/SPY-1 다기능 레이더 안테나를 설치하기 위해 상부 구조물은 더 커졌고, 안테나의 정밀도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강성을 확보하도록 설계되었다. 함수에는 스프루언스급의 운용 경험을 반영하여 불워크(bulwark, 선수 방파판)가 추가되었으며, 주요 부분에는 케블라 장갑이 적용되었다.

상부 구조는 스프루언스급 구축함의 설계를 변형한 것으로, 두 개의 데크 하우스(전방 데크 하우스는 전방 및 우현 안테나, 후방 데크 하우스는 후방 및 좌현 안테나 담당)를 지지하도록 설계되었다. 이는 이후 건조된 알레이 버크급 이지스 구축함과는 다른 방식이다. 알레이 버크급은 처음부터 SPY-1D 레이더 탑재를 염두에 두고 설계되어, 공간과 무게를 절약하고 냉각 요구 사항을 단순화하기 위해 모든 레이더 안테나를 전방 데크 하우스에 통합 배치했다. 이를 통해 레이더 지원 장비들이 더 가까이 배치되어 케이블 배선을 최소화하고 장비를 집중시킬 수 있었다.

작전 연구를 통해 ''타이콘데로가''급의 인력 요구 사항을 분석한 결과, 구식화된 일부 직책을 폐지하여 장교 4명과 수병 44명을 감축할 수 있다는 결론이 나왔다.[1] 그러나 초기 5척에 탑재되었던 Mk 26 유도 미사일 발사 시스템은 많은 운용 인력을 필요로 했다. 이후 이 시스템이 더 강력하고 다재다능한 Mk 41 수직 발사 시스템(VLS)으로 대체되면서 인력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었지만, Mk 45 127mm(5인치) 함포 시스템에서는 이러한 인력 절감이 어려웠다. 이지스 순양함은 함선 양쪽 끝에 대구경 함포 2문을 장착하는 방식을 유지했다.

USS ''Thomas S. Gates'' (CG-51) 이후 건조된 ''타이콘데로가''급 함선에는 2기의 Mark 41 수직 발사 시스템(VLS)이 탑재되었다. 이 VLS는 총 122개의 미사일 저장 및 발사 튜브를 제공하여 토마호크 순항 미사일, 스탠다드 미사일-2MR/ER 및 -6 지대공 미사일, ESSM(Evolved SeaSparrow Missile) 지대공 미사일, 그리고 RUM-139 대잠전(ASW) ASROC 등 다양한 미사일을 탑재할 수 있게 했다. VLS의 중요한 장점은 모든 미사일을 항상 발사 대기 상태로 유지하여 대응 시간을 단축시킨다는 점이다. 반면, 초기 5척('타이콘데로가', '요크타운', '빈센스', '밸리 포지', '토마스 S. 게이츠')은 Mark 26 이중 팔 발사기를 장착하여 총 88발의 미사일만 탑재 가능했고, 발사 가능한 미사일도 SM-2MR과 RUM-139로 제한되었다. 냉전 종식 후, 성능이 상대적으로 낮은 이 초기 5척은 주로 미국 근해에서의 임무에 투입되었다.

2018년 기준으로 ''타이콘데로가''급 순양함의 표준적인 VLS 탑재량은 SM-6 12발, SM-2ER 3발, SM-2MR 56발, RIM-162 ESSM 12발, SM-3 10발, 토마호크 32발, RUM-139 6발이다. 또한 함미에는 별도의 발사대에 하푼 대함 미사일 8발을 탑재한다.

2024년 10월, 미 해군은 해상에서 VLS를 재장전하는 프로토타입 보급 방법의 성공적인 시험을 보고했다. USS 초신에서 수행된 이 시험은 적재 시간을 단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중량 및 중심 문제와 해결 과정건조 과정에서 중량 및 중심 문제가 발생했다. 1979년 2월, 수주 후 첫 중량 중심 계산서에서 초기 설계보다 만재 배수량이 360톤 증가한 9,270톤, 용골 상부 중심 높이(KG)는 약 0.07m 상승한 약 7.18m로 나타나 문제가 심각해졌다. 조선소는 383톤의 중량 감축 방안을 제시했지만, 미 해군은 개발 시간이 오래 걸리거나 설계 변경 범위가 큰 방안은 채택하지 않았다. 1980년 8월 시점에서는 상부 구조 내 알루미늄제 가설 갑판(false deck) 재질 변경, 통로 덮개 제거, 배기 계통 변경 등으로 47톤 감축에 그쳤다.

그러나 중량 증가와 중심 상승 경향은 계속되어 1982년 4월 예상에서는 KG가 약 8.46m까지 상승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에 따라 안정성 확보를 위해 스케그(skeg, 선미 하부 돌출부)에 110톤의 납 밸러스트를 추가하게 되었다. 이러한 조치로 인도 시 만재 배수량은 약 9,500톤이 될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구획 침수 계산상 배수량 한도가 9,700톤이어서 손상 통제 측면에서 여유가 부족하다는 문제가 제기되었다. 해군 장비국 검토 결과, 향후 장착 예정인 전술 예인 소나(TASS)를 위한 함미 개구부가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TASS 투하 및 회수 시에는 비수밀 상태를 유지하고 예인 시에는 수밀 상태를 유지하는 장치를 개발하여 배수량 한도를 10,200톤까지 높일 수 있었다. 초기 계산에서는 이 배수량을 선체 강도가 견디지 못할 것으로 예상했지만, 재계산 결과 실제로는 충분한 강도가 확보되어 있음이 밝혀졌다. 이는 중량 분포가 초기 계산보다 굽힘 모멘트를 줄이는 방향으로 변했고, 형강 치수 규격을 피트(ft) 단위(스프루언스급)에서 미터(m) 단위로 변경하면서 단면 계수가 증가하여 선체 종강도 부재의 강도가 예상보다 커졌기 때문이었다.

1981년도 계획함(CG-50, CG-51)부터는 01 갑판과 선측 외판 재질을 기존의 HTS 고장력강에서 더 강도가 높은 HY-80 고장력강으로 변경하여 판 두께를 줄이고, 함수 불워크 재질을 HTS에서 알루미늄 합금으로 변경했으며, 사각형 마스트를 삼각형 마스트로 바꾸는 등 추가적인 중량 감축 노력이 이루어졌다.

1982년도 계획함(CG-52)부터 VLS를 탑재하게 되면서 더 큰 중량 감축과 중심 하강이 필요해졌다. 이에 따라 해군과 잉갈스 조선소는 공동으로 'TOTS(Take off Tons Sensibly)' 계획을 수립했다. 이 계획에는 HY-80 고장력강 사용 범위 확대, 국부 강도 부재에 고강도 저합금강(HSLA) 도입, 주선체 재설계, 함외 수전 설비 재검토를 통한 케이블 및 회로 차단기 감축 등이 포함되었다. TOTS 계획을 통해 만재 배수량은 9,410톤, KG는 약 7.07m로 낮출 수 있었다. 만약 TOTS 계획이 없었다면, 만재 배수량은 10,100톤(밸러스트 250톤 포함), KG는 약 7.12m에 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3. 2. 기관

주기관은 스프루언스급에서 채용된 제너럴 일렉트릭 LM2500 가스터빈 엔진 4기를 사용하며, 가변 피치 프로펠러(CPP) 2축을 구동하는 COGAG 방식을 채택했다.

이지스 시스템 탑재에 따라 전원 시스템도 강화되었다. 앨리슨 501 가스터빈 발전기는 4기로 증설되었고, 출력도 기당 2000kW에서 2500kW로 강화되었다. 또한 400볼트/60헤르츠 삼상 교류의 함내 배전 시스템으로 변전하는 컨버터 역시 3기에서 4기로 증설되었다. 이러한 증설을 위한 여유 공간은 이미 스프루언스급 설계 단계에서 미사일 구축함으로의 개조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확보되어 있었다.

4. 무장 및 주요 장비

본급의 주요 제원과 탑재 무장은 다음과 같다.

'''타이콘데로가급 순양함 제원'''
구분내용
만재배수량
크기길이 172.8m × 폭 16.8m × 흘수 9.5m
추진GE LM2500 가스터빈 엔진 4기
속력30 노트
승조원358명 (CG-48: 312명)
탑재 항공기헬기 2대 탑재 가능



주요 무장 및 장비는 다음과 같다.


  • Mk.7 이지스 전투 시스템(AEGIS Combat System)
  • 미사일 발사기:
  • Mk.26 GMLS 2기 (CG-47~51)
  • Mk.41 수직발사기(VLS) 122셀 (CG-52~73)
  • 탑재 미사일 및 로켓:
  • RIM-67 스탠다드 미사일(SM-2)
  • RUR-5 ASROC (대잠 로켓)
  • BGM-109 토마호크 순항 미사일 (CG-52~73)
  • RGM-84 하푼 대함 미사일 (Mk-141 하푼 발사기 2기 사용)
  • 어뢰:
  • Mk.32 SVTT 3연장 발사관 2문
  • Mk-46 어뢰
  • 함포 및 기관포:
  • Mk.45 5인치(127mm) 함포 2문
  • Mk-15 팰렁스 CIWS 1문
  • 25mm 기관포 2정
  • 12.7mm 기관총 4정

4. 1. 이지스 무기 시스템 (AWS)

타이콘데로가급 순양함의 핵심 장비는 이지스 무기 시스템(AWS)이다. 함선에 탑재된 모든 전투 시스템은 AWS의 전술 정보 처리 장치인 지휘 결정 시스템(C&D) Mk.1 및 무기 관제 시스템(WCS) Mk.1에 연결되어 통합 운영된다. AWS는 지속적인 개량을 거치며 여러 버전(베이스라인)으로 발전했다.

함선 건조 당시 탑재된 베이스라인은 다음과 같다.

  • 1·2번함: 베이스라인 0 (곧 베이스라인 1으로 업데이트됨)
  • 3~5번함: 베이스라인 1
  • 6~12번함: 베이스라인 2
  • 13~18번함: 베이스라인 3
  • 19~27번함: 베이스라인 4


1996년부터는 베이스라인 4 탑재함의 시스템이 베이스라인 5 페이즈 III 사양으로 업데이트되어, 합동 전술 정보 분배 시스템(JTIDS)을 통한 링크 16 운용 능력을 갖추게 되었다.

2008년부터 시작된 이지스 현대화 개수(AMOD)를 통해 시스템은 더욱 향상되었다.

  • 베이스라인 2 탑재함: 베이스라인 8(CR2/ACB08)으로 업데이트
  • 베이스라인 3·4 탑재함: 베이스라인 9(CR3/ACB12)로 업데이트


이 개수를 통해 공동 교전 능력(CEC) 운용 능력도 추가되었다.

4. 1. 1. 레이더

타이콘데로가급 순양함의 핵심 레이더는 미국 레이시온사가 개발한 AN/SPY-1 PESA 레이더이다. 이 레이더는 고정식 4면의 수동형 위상 배열(PESA) 안테나를 사용하며, 전후 상부 구조물에 각각 2개씩(전부 구조물에는 함수 측과 우현, 후부 구조물에는 함미 측과 좌현) 설치되어 있다. 450km 이상 반경의 전투기 목표를 탐지할 수 있는 고성능 3차원 대공 레이더이다. 베이스라인 0 - 2 함선에는 AN/SPY-1A가, 베이스라인 3 - 4 함선에는 개량형인 AN/SPY-1B가 탑재되었다. 1993년부터는 AN/SPY-1A에도 소프트웨어 재작성 및 안테나 감도 변경 등의 개수가 이루어졌다.

초기에는 AN/SPY-1을 보완하는 조기 경계 레이더로서 2차원식 AN/SPS-49도 탑재되었다. 이 레이더는 반경 460km의 전투기를 탐지할 수 있었으나, 높이 좌표는 탐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SPS-49만의 정보로는 공중 목표물을 미사일로 요격하는 데 제한이 있었다. AN/SPS-49는 AMOD(Aegis Modernization) 개수 시 철거되었다.

또한, 함포의 목표 포착 및 사격 지휘 레이더로서 탑재되었던 AN/SPQ-9A는 AMOD 개수 시 AN/SPQ-9B로 갱신되어 저고도 경계 성능을 향상시켰다.

4. 1. 2. 미사일

주력 함대공 미사일로는 기존 스탠다드 미사일을 발전시킨 SM-2를 채용했다. 초기형 함선(CG-47~51)은 연장형 Mk.26 GMLS를 함수와 함미에 각 1기씩 탑재했다. 이 발사기는 선행한 타르타르-D 시스템용으로 개발되어 버지니아급 원자력 미사일 순양함 및 키드급 구축함에서 운용했던 것과 동일한 계열이며, 각 발사기는 44발의 미사일을 수용할 수 있었다.

6번함(CG-52)부터는 신형 수직발사체계(VLS)인 Mk.41 mod.0이 탑재되었다. 이는 61셀 모듈 2기(총 122셀)를 함선 전후에 탑재한 것으로, 수직 발사 방식의 채택으로 생존성, 즉응성, 연사 능력이 크게 향상되었다. Mk.41은 BGM-109 토마호크 순항 미사일 운용이 가능한 롱 모듈로 통일되어 운용 유연성을 높였다.

Mk.41 VLS에는 SM-2 외에도 RUR-5 ASROC 대잠 로켓과 BGM-109 토마호크 지상 공격 미사일(CG-52 이후 함선)을 탑재한다. 또한 별도의 Mk-141 하푼 발사기 2기를 통해 RGM-84 하푼 대함 미사일을 운용한다.

근접 방공 능력 향상을 위해 현대화 개수(AMOD) 과정에서 ESSM 개함 방공 미사일 운용 능력이 추가되었고, 팰렁스 CIWS(Mk.15)도 블록 1B 사양으로 개량되었다. 함대공 미사일의 종말 유도는 Mk.99 미사일 사격 지휘 장치가 담당하며, 이를 위해 AN/SPG-62 일루미네이터 4기가 함선 전후에 2기씩 탑재되어 있다.

일부 함선은 이지스 BMD 시스템을 탑재하여 SM-3 탄도탄 요격 미사일을 운용할 수 있도록 개수되었다. 2002년 레이크 이리 함에서 최초로 시험이 시작되었으며[32], 2006년에는 이지스 BMD 3.6 시스템을 탑재한 샤일로 함이 미사일 방어 능력 시험 후 요코스카 해군 시설에 배치되었다. 2013년까지 CG-61, CG-70, CG-72, CG-73 등 다수의 함선이 이지스 BMD 시스템을 탑재했으며, 추가적인 개수가 진행될 예정이다. 이러한 BMD 능력은 현대화 개수(AMOD)에 통합되어, 베이스라인 4 탑재 함선에는 BMD 5.0 적용이 계획되었다.

=== 작전명 소각 (Operation Burnt Frost) ===

2008년 2월 14일, 미국 국방부는 레이크 이리 함이 고장난 정찰위성 USA-193을 북태평양 상공에서 요격할 것이라고 발표했다.[31][32] 2월 20일 동부 표준시 기준 약 22시 30분(협정 세계시 기준 2월 21일 03시 30분), 레이크 이리 함에서 발사된 SM-3 미사일이 위성을 성공적으로 명중시켰다. 이 작전은 미사일의 운동 에너지만으로 위성의 하이드라진 연료 탱크를 파괴하여, 대기권 재진입 시 유독성 연료가 연소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이었다.[33] 미 국방부는 미사일이 연료 탱크를 직접 타격했음을 확인하며 작전 성공을 발표했다.[34] 이 사건은 타이콘데로가급 순양함의 이지스 BMD 능력을 실증적으로 보여준 대표적인 사례로 평가받는다.

4. 2. 미사일 방어 (BMD)

일부 타이콘데로가급 순양함은 이지스 BMD(탄도 미사일 방어) 시스템을 탑재하고 SM-3 탄도탄 요격 미사일을 운용할 수 있도록 개수되었다. 이러한 개수는 2002년부터 레이크 이리(CG-70)에서 시험이 시작되었다.

샤일로(CG-67)는 이지스 BMD 3.6 시스템을 탑재하여 2006년 6월 시험을 통해 미사일 방어 능력을 확인한 후, 일본의 요코스카 해군 시설에 배치되었다.

이지스 BMD 시스템의 실전 능력은 작전명 소각에서 입증되었다. 2008년 2월 14일, 미국 국방부는 레이크 이리(CG-70)가 고장 난 첩보 위성 USA-193을 북태평양 상공에서 요격할 것이라고 발표했다.[31][32] 이 위성은 대기권 재진입 시 유독성 하이드라진 연료가 지상에 확산될 위험이 있었다. 2008년 2월 20일, 레이크 이리는 SM-3 미사일을 발사하여 위성을 성공적으로 명중시켰다. 미사일의 운동 에너지만으로 위성의 하이드라진 연료 탱크를 파괴하여 유독 연료가 대기권 재진입 과정에서 안전하게 연소되도록 하는 것이 목표였다.[33] 미국 국방부는 미사일이 의도대로 연료 탱크를 직접 타격했음을 확인했다.[34]

2013년까지 레이크 이리(CG-70)를 포함하여 CG-61, CG-72, CG-73 등 총 4척이 이지스 BMD 시스템을 탑재했으며, 추가로 최소 5척의 개수가 더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이지스 BMD 탑재 개수의 성과는 AMOD(Aegis Modernization) 계획에 통합되어, 베이스라인 4 시스템을 탑재한 함선에는 2014년부터 2016년에 걸쳐 BMD 5.0 시스템이 적용될 예정이었다.

4. 3. 대잠전

타이콘데로가급 순양함의 대잠전 장비는 기본적으로 스프루언스급 구축함의 구성을 따랐다. 초기 함선에는 소나로 AN/SQS-53A를 선수 돔에 탑재했으며, 수중 공격 지휘 장치는 Mk.116 mod.4를 사용했다. 대잠 무기로는 324mm 3연장 어뢰 발사관 외에, 초기 함선(CG-47~51)에 탑재된 Mk.26 GMLS를 통해 아스록 대잠 미사일을 발사할 수 있었다.

1983년도 계획으로 건조된 8번함(USS 토머스 S. 게이츠)부터는 AN/SQR-19 TACTAS의 탑재가 시작되었다. 10번함(USS 벙커힐)부터는 AN/SQQ-89 (V)3 통합 대잠 시스템이 탑재되었고, 이에 따라 선체 장착 소나는 AN/SQS-53B로, 수중 공격 지휘 장치도 Mk.116 mod.6으로 개선되었다. 이 개선 사항은 이전에 건조된 6번함(USS 밸리 포지)부터 9번함(USS 앤티텀)까지에도 소급 적용(백피트)되어, 베이스라인 2 이후의 모든 함선이 AN/SQQ-89 시스템을 장비하게 되었다.

이후 AMOD(Aegis Modernization) 개수를 통해 추가적인 성능 향상이 이루어졌다. 베이스라인 2 탑재 함선에서는 예인 소나가 AN/SQR-20 MFTA (Multi-Function Towed Array)로 갱신되었고, 베이스라인 3 및 4 탑재 함선에서는 통합 대잠 시스템이 AN/SQQ-89A(V)15로 갱신되었다.

4. 4. 전자전

전자전 시스템으로는 전자전 지원과 전자 공격 기능을 모두 갖춘 AN/SLQ-32(V)3 전파 탐지 및 교란 장치를 탑재했다. 하지만 AMOD(Aegis Modernization) 개수 과정에서 알레이 버크급 구축함은 신형 SEWIP(Surface Electronic Warfare Improvement Program) 시스템으로 교체되었지만, 타이콘데로가급은 교체 대상에서 제외되었다.

1999년에는 CG-58, CG-59, CG-63 함선에 Mk.137 발사기를 사용하여 NULKA 액티브 디코이를 발사하는 기능이 추가되었다. 이후 AMOD 개수를 통해 전용 Mk.53 mod.5 발사기가 추가로 탑재되었다.

4. 5. 항공기

타이콘데로가급 순양함은 헬리콥터 2대를 탑재할 수 있다.

초기 건조함인 CG-47과 CG-48 (베이스라인 0)은 함체 상부 구조물의 중량 증가를 최소화하기 위해, 비교적 가볍고 간소한 장비로 운용 가능한 SH-2 시스프라이트 헬리콥터를 사용하는 LAMPS Mk.I 시스템을 채택했다.

이후 건조된 CG-49부터 CG-73까지의 함선(베이스라인 1 이후)은 더 크고 강력한 SH-60B 시호크 헬리콥터를 운용하는 LAMPS Mk.III 시스템으로 변경되었다. 이 시스템의 도입과 함께 함미에는 RAST 착함 유도 및 구속 장치가 설치되었으며, 헬리콥터용 어뢰 36발을 보관할 수 있는 탄약고가 마련되었다.

운용 부대인 헬리콥터 대잠수함 비행대(HSL)는 헬리콥터 해상 공격 비행대(HSM)로 개편되었다. 2006년부터 2015년 사이에 기존에 운용하던 SH-60B 헬리콥터는 MH-60R 시호크로 교체되었고, SH-60B는 2015년 5월 11일 미국 해군에서 공식적으로 퇴역했다.

5. 함 목록

2011년 예산 통제법에 따른 국방 예산 삭감 요구로 인해 일부 타이콘데로가급 순양함의 조기 퇴역이 고려되었다.[7] 미 국방부의 2013년 예산 제안에서는 2013년과 2014년에 걸쳐 7척의 순양함을 조기 퇴역시키는 계획이 포함되었으나,[8] 2012년 10월, 미 해군은 함대 규모 유지를 위해 4척의 순양함은 조기 퇴역시키지 않기로 결정했다. 이들 4척과 21척의 알레이 버크급 구축함은 탄도 미사일 방어 및 대위성 무기 작전을 위해 장비를 갖출 예정이었다.[9]

2019년 3월, 해군은 비용 절감을 이유로 가장 오래된 6척(벙커힐, 모빌 베이, 앤티텀, 레이테 만, 샌 자신토, 레이크 챔플레인)을 2021년과 2022년에 퇴역시키는 방안을 제안했다. 이는 함선들이 원래 계획된 35년의 수명에 도달하는 시점이지만, 수명 연장 유지 보수를 하지 않는다는 의미였다. 이 제안은 함대 규모 축소에 신중한 의회의 승인이 필요했다.[10]

2021년 12월, 의회는 해군이 요청한 7척 대신 5척의 타이콘데로가급 순양함만 퇴역시키는 것을 승인했다.[11][14] 이에 따라 해군은 몬터레이(CG-61), 후에 시티(CG-66), 안지오(CG-68), 벨라 걸프(CG-72), 포트 로열(CG-73)을 2022년에 퇴역시키기로 결정했다.

2022년 4월, 해군은 2027 회계 연도 말까지 남아있는 17척의 모든 순양함을 퇴역시키는 계획을 발표했다.[15] 그러나 의회는 전투력 유지, 함선 교체 속도, 비용 문제 등을 이유로 일부 함선의 퇴역에 제동을 걸었다. 특히 현대화 작업이 거의 완료된 빅스버그(CG-69)의 퇴역은 명시적으로 금지되었다.[16][36][35] 2024년 11월 기준으로, 당초 2027년 퇴역 예정이었던 게티즈버그(CG-64), 초신(CG-65), 케이프 세인트 조지(CG-71) 3척은 2029년까지 운용될 예정이다.[37][38]

아래 표는 현재까지 확정되거나 제안된 함선 목록과 상태를 보여준다. (퇴역 예정 연도는 의회 승인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함명선체 번호건조사기공진수취역퇴역운용 기간모항상태
Mk 26 트윈 암 미사일 발사기 장착형
타이콘데로가CG-47잉걸스 조선소1980년 1월 21일1981년 4월 25일1983년 1월 22일2004년 9월 30일21년 252일n/a고철 처리 (2022년)
요크타운CG-48잉걸스 조선소1981년 10월 19일1983년 1월 17일1984년 7월 4일2004년 12월 10일20년 159일n/a고철 처리 (2024년)
빈센스CG-49잉걸스 조선소1982년 10월 19일1984년 1월 14일1985년 7월 6일2005년 6월 29일19년 358일n/a고철 처리 (2011년)
밸리포지CG-50잉걸스 조선소1983년 4월 14일1984년 6월 23일1986년 1월 18일2004년 8월 30일18년 225일n/a표적으로 침몰 (2006년)
토머스 S. 게이츠CG-51배스 아이언 워크스1984년 8월 31일1985년 12월 14일1987년 8월 22일2005년 12월 16일18년 116일n/a고철 처리 (2017년)
Mk 41 수직 발사 시스템 (VLS) 장착형
벙커힐CG-52잉걸스 조선소1984년 1월 11일1985년 3월 11일1986년 9월 20일2023년 9월 22일[39]37년 2일퓨젯 사운드 해군 조선소 및 중간 정비 시설 (워싱턴주 브레머턴)퇴역, 미국 해군 예비 함대
모빌 베이CG-53잉걸스 조선소1984년 6월 6일1985년 8월 22일1987년 2월 21일2023년 8월 10일[40]36년 170일퓨젯 사운드 해군 조선소 및 중간 정비 시설 (워싱턴주 브레머턴)퇴역, 미국 해군 예비 함대
앤티텀CG-54잉걸스 조선소1984년 11월 15일1986년 2월 14일1987년 6월 6일2024년 9월 27일[41]37년 113일진주만-히캄 통합 기지 (하와이주)퇴역, 미국 해군 예비 함대
레이테 만CG-55잉걸스 조선소1985년 3월 18일1986년 6월 20일1987년 9월 26일2024년 9월 20일[42]36년 360일노퍽 해군 기지 (버지니아주)퇴역, 미국 해군 예비 함대
샌 자신토CG-56잉걸스 조선소1985년 7월 24일1986년 11월 14일1988년 1월 23일2023년 9월 15일[43]35년 235일해군 유휴 함정 유지 시설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퇴역, 미국 해군 예비 함대
레이크 챔플레인CG-57잉걸스 조선소1986년 3월 3일1987년 4월 3일1988년 8월 12일2023년 9월 1일[44]35년 20일퓨젯 사운드 해군 조선소 및 중간 정비 시설 (워싱턴주 브레머턴)퇴역, 미국 해군 예비 함대
필리핀 해CG-58배스 아이언 워크스1986년 4월 8일1987년 7월 12일1989년 3월 18일2025년 퇴역 제안[36]노퍽 해군 기지 (버지니아주)현역 운용
프린스턴CG-59잉걸스 조선소1986년 10월 15일1987년 10월 2일1989년 2월 11일2026년 퇴역 제안[36]샌디에이고 해군 기지 (캘리포니아주)현역 운용
노르망디CG-60배스 아이언 워크스1987년 4월 7일1988년 3월 19일1989년 12월 9일2025년 퇴역 제안[36]노퍽 해군 기지 (버지니아주)현역 운용
몬터레이CG-61배스 아이언 워크스1987년 8월 19일1988년 10월 23일1990년 6월 16일2022년 9월 16일[45]32년 92일해군 유휴 함정 유지 시설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퇴역, 미국 해군 예비 함대
로버트 스몰스CG-62잉걸스 조선소1987년 6월 24일1988년 7월 15일1989년 11월 4일2026년 퇴역 제안[36]요코스카 해군 기지 (일본 가나가와현)현역 운용, 이전 USS 챈슬러즈빌[46]
카우펜스CG-63배스 아이언 워크스1987년 12월 23일1989년 3월 11일1991년 3월 9일2024년 8월 27일[47]33년 171일해군 유휴 함정 유지 시설 (하와이주 진주만)퇴역, 미국 해군 예비 함대
게티즈버그CG-64배스 아이언 워크스1988년 8월 17일1989년 7월 22일1991년 6월 22일2029년 퇴역 제안[36][37][38]노퍽 해군 기지 (버지니아주)현역 운용
초신CG-65잉걸스 조선소1988년 7월 22일1989년 9월 1일1991년 1월 12일2029년 퇴역 제안[36][37][38]샌디에이고 해군 기지 (캘리포니아주)현역 운용
후에 시티CG-66잉걸스 조선소1989년 2월 20일1990년 6월 1일1991년 9월 14일2022년 9월 23일[48]31년 9일해군 유휴 함정 유지 시설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퇴역, 미국 해군 예비 함대
샤일로CG-67배스 아이언 워크스1989년 8월 1일1990년 9월 8일1992년 7월 18일2024년 퇴역 요청[36]진주만-히캄 통합 기지 (하와이주)현역 운용
안지오CG-68잉걸스 조선소1989년 8월 21일1990년 11월 2일1992년 5월 2일2022년 9월 22일[49]30년 143일해군 유휴 함정 유지 시설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퇴역, 미국 해군 예비 함대
빅스버그CG-69잉걸스 조선소1990년 5월 30일1991년 8월 2일1992년 11월 14일2024년 6월 28일[50][47]31년 227일해군 유휴 함정 유지 시설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퇴역, 미국 해군 예비 함대
레이크 이리CG-70배스 아이언 워크스1990년 3월 6일1991년 7월 13일1993년 5월 10일2025년 퇴역 제안[36]샌디에이고 해군 기지 (캘리포니아주)현역 운용
케이프 세인트 조지CG-71잉걸스 조선소1990년 11월 19일1992년 1월 10일1993년 6월 12일2029년 퇴역 제안[36][37][38]샌디에이고 해군 기지 (캘리포니아주)현역 운용
벨라 걸프CG-72잉걸스 조선소1991년 4월 22일1992년 6월 13일1993년 9월 18일2022년 8월 4일[51]28년 320일해군 유휴 함정 유지 시설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퇴역, 미국 해군 예비 함대
포트 로열CG-73잉걸스 조선소1991년 10월 18일1992년 11월 20일1994년 7월 9일2022년 9월 29일[52]28년 82일해군 유휴 함정 유지 시설 (하와이주 진주만)퇴역, 미국 해군 예비 함대


6. 퇴역 및 대체

2011년 예산 통제법에 따른 국방 예산 삭감 요구로 인해, 일부 타이콘데로가급 순양함의 조기 퇴역이 검토되기 시작했다.[7] 미국 국방부는 2013년 예산 제안에서 2013년과 2014년 회계연도에 걸쳐 7척의 순양함을 조기 퇴역시키려 했으나,[8] 2012년 10월에는 함대 규모 유지를 위해 4척의 조기 퇴역 계획을 철회했다. 이 4척의 순양함과 21척의 알레이 버크급 구축함은 탄도 미사일 방어 및 대위성 무기 작전을 위한 장비를 갖출 예정이었다.[9]

2019년 3월, 미 해군은 비용 절감을 이유로 가장 오래된 6척의 순양함(''벙커 힐'', ''모바일 베이'', ''앤티텀'', ''레이테 걸프'', ''산 자친토'', ''레이크 챔플레인'')을 수명 연장 유지 보수를 위한 드라이 도킹 대신 2021년과 2022년에 퇴역시키는 방안을 제안했다.[10] 이 함선들은 원래 계획된 35년의 수명에 도달하기 때문에 기술적으로는 조기 퇴역이 아니었지만, 업그레이드를 통해 더 오래 운용될 수도 있었다. 이 제안은 활동 전투 함대의 규모를 줄이는 조치에 대해 신중한 입장을 보이던 의회의 승인이 필요했다.[10]

이후 퇴역 계획은 여러 차례 변경되었다. 2020년 12월 의회 보고서에서는 다음과 같은 예비 퇴역 일정을 제시했다.[12]

회계 연도총계해당 함선
20226샌 재신토(CG-56), 몬터레이(CG-61), 후에 시티(CG-66), 안지오(CG-68), 벨라 걸프(CG-72), 포트 로열(CG-73)
20232벙커 힐(CG-52), 모빌 베이(CG-53)
20242앤티텀(CG-54), 실로(CG-67)
20250없음
20261로버트 스몰스(CG-62) (구 챈슬러스빌)



2021년 7월, 해군은 2022 회계연도에 7척(''레이크 챔플레인(CG-57)'' 추가)의 퇴역을 요청했으나,[13] 2021년 12월에 통과된 최종 예산은 해군이 "유도 미사일 순양함 5척 이상을 퇴역시키거나, 퇴역을 준비하거나, 무력화하거나, 보관하는 데" 어떠한 자금도 사용하는 것을 금지했다.[14] 예산은 어떤 순양함을 퇴역시킬 수 있는지 명시하지 않았으며, 해군은 최종적으로 ''몬터레이(CG-61)'', ''후에 시티(CG-66)'', ''안지오(CG-68)'', ''벨라 걸프(CG-72)'', 그리고 ''포트 로열(CG-73)''을 퇴역시키기로 결정했다.

2022년 4월, 해군은 2027 회계연도 말까지 남아있는 17척의 모든 순양함을 퇴역시키겠다는 계획을 다시 발표했다.[15] 일정은 다음과 같다.

회계 연도총계해당 함선
20235벙커 힐(CG-52), 모빌 베이(CG-53), 샌 재신토(CG-56), 레이크 챔플레인(CG-57), 빅스버그(CG-69)
20243앤티텀(CG-54), 레이테 걸프(CG-55), 실로(CG-67)
20253필리핀 해(CG-58), 노르망디(CG-60), 레이크 이리(CG-70)
20263프린스턴(CG-59), 로버트 스몰스(CG-62), 카우펜스(CG-63)
20293게티즈버그(CG-64), 초신(CG-65), 케이프 세인트 조지(CG-71)



하원과 상원의 초안 예산은 모두 ''빅스버그''의 퇴역을 명시적으로 금지했는데, 이 함선이 단계적 현대화 프로그램(2-4-6 프로그램이라고도 함)의 일환으로 현대화가 거의 완료되었기 때문이다.[16] 하원 예산은 해군이 "4척 이상의 유도 미사일 순양함을 퇴역시키거나, 퇴역을 준비하거나, 무력화하거나, 보관하는 데" 어떠한 자금도 사용하는 것을 금지한다. 최종 예산이 통과될 때까지 모든 퇴역 요청은 보류 중이다.

왼쪽부터: 토머스 S. 게이츠, 타이콘데로가, 그리고 요크타운이 2016년 5월 필라델피아에 정박해 있는 모습


미 해군은 2015년 예산 요청에서 11척의 순양함을 운용하고 나머지 11척은 새로운 표준으로 개량하는 계획을 발표했다. 개량된 순양함은 2019년부터 퇴역하는 구형 함정을 대체하기 시작할 것이었다.[17] 이렇게 하면 항공모함 전단의 항공 작전 지휘관을 수용하기 위해 항공모함 전단당 1척의 순양함을 유지하게 되는데, 구축함은 이 역할을 수행할 충분한 시설을 갖추고 있지 않다. 대공 및 미사일 방어 레이더를 장착한 플라이트 III급 알레이 버크급 구축함은 향상된 방어 범위를 제공하지만, 표준 구축함 선체에 레이더를 설치하는 것만으로는 항공 작전 지휘관을 위한 추가 인력, 지휘 및 통제 시설을 위한 공간이 부족하다. 구축함은 전술적으로 대공 방어에 사용될 수 있지만, 항공모함 전단에서 지휘 및 통제를 제공하는 순양함을 보조하며, 다른 함대 부대를 방어하고 해상 통로를 유지하는 것과 같은 다른 임무에 주로 사용된다. 의회는 해군이 운용 중인 함정을 완전히 퇴역시킬 수 있다는 점을 들어 이 계획에 반대했다. 해군은 모든 순양함을 계속 운용할 경우 2028년까지 함대에서 퇴역시켜야 하는 반면, 절반을 비활성화하고 점진적으로 다시 투입하면 11척의 순양함으로 2035년부터 2045년까지 운용할 수 있다. 콜롬비아급 잠수함 건조 때문에 순양함 교체가 자금 부족으로 반복적으로 지연되었으며, 새로운 순양함 건조는 2020년대 중반에 시작되어 2030년대 중반에 실전 배치될 것으로 예상되었다.[18]

유도 미사일 순양함과 구축함의 크기와 성능이 크게 중복됨에 따라, 미 해군은 결국 이들을 대형 수상 전투함(LSC)으로 통합하여 공중 및 미사일 방어에 중점을 둔 단일 등급의 대형 다목적 함정을 만들었다. 2018년 해군은 미래의 LSC는 플라이트 III급 ''알레이 버크''급 유도 미사일 구축함의 성능을 시작 기준으로 하고, 미래의 성장 여력과 ''타이콘데로가''급의 대공 방어 지휘 및 통제 기능을 갖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19] 따라서, 최초로 퇴역하는 순양함에 대한 단기적인 대체는 2020년대 중반부터 시작되는 플라이트 III급 ''알레이 버크''급 구축함이며, ''타이콘데로가''급 순양함과 플라이트 I 및 II ''알레이 버크''급 구축함의 마지막 함정은 2030년대 초 DDG(X) 프로그램으로 대체될 예정이다. 이 프로그램 사무실은 2021년 6월에 설립되었으며, 설계 작업은 2022년 2월부터 계약을 시작했다. DDG(X)는 명칭에도 불구하고 ''타이콘데로가''급보다 훨씬 더 크고 최소한 동등한 성능을 갖출 것으로 예상된다.[20][21]

미국 해군은 1995년부터 차세대 수상 전투함으로 SC-21(Surface Combatant for 21st Centuryeng)의 개념 개발에 착수했으며, 본급의 후계함으로서 CG-21 계획함도 포함되어 있었다. 이후, CG-21은 CG(X)로 발전하여, 스프루언스급 구축함의 후계가 되는 DD(X)와 함께 개발될 예정이었다. 그러나 DD(X)는 줌왈트급 구축함으로 결실을 맺었지만, 건조 비용 상승으로 인해 건조 수가 감축되었고, 대신 2010년부터 알레이 버크급 구축함 플라이트 IIA의 건조가 재개되었다. 그리고 2010년에는 CG(X) 계획의 중지가 결정되어, 그 대체도 겸하여 2016년부터 플라이트 III의 건조가 시작되었다.

그 후,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의 055형 구축함 등장과 대함 미사일 전력 확충 등을 고려하여 수상함 전력 확충이 추진되면서, 순양함 개발 계획도 재개되었다. 미국 해군의 2021년도 예산안에는 차기 순양함 개발 비용이 포함되어 있으며, 계획에서는 2025년까지 1번함 건조에 필요한 모든 작업을 완료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이처럼 급속한 개발이 요구되었기 때문에, 신기술 도입은 피하고 실증된 기술만으로 구성하여 개발 기간 단축과 위험 부담을 줄이는 계획으로 세워졌다.[53] 이후, 2022년 1월 의회에 제출된 보고서에서는 차기 미사일 구축함 '''DDG(X)'''가 알레이 버크급과 함께 본급의 대체함도 겸하여, 2028년도부터 조달을 시작하는 것으로 결정되었다.[54]

참조

[1] 웹사이트 CG-47 Ticonderoga (class) https://fas.org/man/[...] Federation of American Scientists 2015-04-26
[2] 웹사이트 After a Decade of Debate, Cruisers Set to Exit Fleet in 5 Years https://news.usni.or[...] usni.org 2022-04-21
[3] 웹사이트 As the US Navy scrambles to field more missiles in Asia, a tough decision looms for aging cruisers https://www.defensen[...] defensenews.com 2022-04-12
[4] 서적 U.S. CRUISERS An Illustrated Design History Naval Institute Press 1984
[5] 웹사이트 Designing the Arleigh Burke's Hull https://www.usni.org[...] 2010-08-01
[6] 서적 U.S. CRUISERS An Illustrated Design History Naval Institute Press 1984
[7] 웹사이트 Navy avoids most of Pentagon's latest cuts http://www.navytimes[...] 2012-01-26
[8] 웹사이트 Navy budget request avoids deep cuts http://www.navytimes[...] 2012-02-13
[9] 웹사이트 American Cruisers Not Allowed To Retire http://strategypage.[...] Strategypage.com 2012-10-02
[10] 웹사이트 Once again, the US Navy looks to scrap its largest combatants to save money https://www.defensen[...] defensenews.com 2019-03-18
[11] 웹사이트 New Defense Bill Saves 2 Cruisers, Approves 13 Battle Force Ships; Adds 12 Super Hornets https://news.usni.or[...] defensenews.com 2021-12-07
[12] 웹사이트 Report to Congress on the Annual Long-Range Plan for Construction of Naval Vessels https://media.defens[...] Office of the Chief of Naval Operations 2020-12-09
[13] 간행물 FY22 PROJECTED SHIP INACTIVATION SCHEDULE Chief of Naval Operations 2021-07-02
[14] 웹사이트 New Defense Bill Saves 2 Cruisers, Approves 13 Battle Force Ships; Adds 12 Super Hornets https://news.usni.or[...] 2021-12-07
[15] 웹사이트 Report to Congress on the Annual Long-Range Plan for Construction of Naval Vessels for Fiscal Year 2023 https://media.defens[...] 2022-04
[16] 웹사이트 Navy Force Structure and Shipbuilding Plans: Background and Issues for Congress https://www.everycrs[...] 2022-09-19
[17] 웹사이트 The Navy's New Cruiser Is … the Navy's Old Cruiser https://medium.com/w[...] War is Boring 2014-03-13
[18] 뉴스 US Navy's Cruiser Problem http://www.defensene[...] Gannett Government Media 2014-07-06
[19] 웹사이트 The Navy Is Going To Need A Bigger Boat And It's Getting Ready To Buy One https://www.defensen[...] 2018-09-17
[20] 웹사이트 US Navy creates DDG(X) program office after years of delays for large combatant replacement https://www.defensen[...] 2021-06-04
[21] 웹사이트 USN enlists Gibbs & Cox for DDG(X) design and engineering support https://www.shephard[...] 2022-02-18
[22] 웹사이트 Fatigue Performance of Composite Patch Repaired Cracked Aluminum Plates http://www.shipstruc[...] Naval Surface Warfare Center Carderock Division
[23] 웹사이트 Missile Loadouts: Ticonderoga-class (1983-2018) http://influenceofhi[...]
[24] 웹사이트 Navy Demonstrates First At-sea Reloading of Vertical Launching System https://www.necc.usf[...] 2024-12-03
[25] 웹사이트 Navy DDG-51 and DDG-1000 Destroyer Programs: Background and Issues for Congress http://opencrs.com/d[...] Open CRS
[26] 웹사이트 Navy Upgrades More Than a Third of Cruisers http://www.dodbuzz.c[...] DoDBuzz.com 2013-07-09
[27] 문서 NAVEDTRA 14324A, Gunner's Mate, Chapter 7.
[28] 서적 The twilight war : the secret history of America's thirty-year conflict with Iran
[29] 서적 U.S.S. Vincennes (CG 49) shootdown of Iran Air Flight https://archive.org/[...] Springfield, Va. : Available from the National Technical Information Service 1991
[30] 보고서 Formal Investigation into the Circumstances Surrounding the Downing of Iran Air Flight 655 on July 3, 1988 http://www.dod.gov/p[...] 1988-07-28
[31] 뉴스 Officials: U.S. to try to shoot down errant satellite http://www.cnn.com/2[...] CNN 2008-02-14
[32] 뉴스 Pentagon plans to shoot down disabled satellite https://www.reuters.[...] Reuters 2008-02-14
[33] 뉴스 Missile Strikes a Spy Satellite Falling From Its Orbit https://www.nytimes.[...] 2008-02-21
[34] 뉴스 Navy Succeeds In Intercepting Non-Functioning Satellite http://www.navy.mil/[...] NNS 2008-02-20
[35] 웹사이트 New Defense Bill Saves 2 Cruisers, Approves 13 Battle Force Ships; Adds 12 Super Hornets https://news.usni.or[...] 2021-12-07
[36] 웹사이트 Report to Congress on the Annual Long-Range Plan for Construction of Naval Vessels for Fiscal Year 2023 https://media.defens[...] 2022-04
[37] 웹사이트 Report to Congress on the Annual Long-Range Plan for Construction of Naval Vessels for Fiscal Year 2022 https://media.defens[...] 2021-06
[38] 웹사이트 Navy Force Structure and Shipbuilding Plans: Background and Issues for Congress https://www.everycrs[...] 2022-09-19
[39] 웹사이트 USS Bunker Hill Decommissions https://www.surfpac.[...] 2023-09-22
[40] 간행물 USS Mobile Bay Decommissions, Honors 36 Years of Service https://www.navy.mil[...] United States Navy 2023-08-11
[41] 뉴스 uss-antietam-decommissions-while-crew-remains-antietam https://www.dvidshub[...]
[42] 뉴스 uss-leyte-gulf-decommissioned https://www.dvidshub[...]
[43] 간행물 USS San Jacinto (CG-56) Decommissions, Honoring 35 Years of Service https://www.navy.mil[...] United States Navy 2023-09-16
[44] 간행물 USS Lake Champlain Decommissions After 35 Years of Distinguished Service https://www.navy.mil[...] United States Navy 2023-09-01
[45] 간행물 USS Monterey Decommissioned https://www.navy.mil[...] United States Navy 2022-09-16
[46] 웹사이트 UPDATED: Commission Recommends Renaming Two Navy Ships with Confederate Ties https://news.usni.or[...] 2022-09-13
[47] 웹사이트 NAVADMIN 050/24 FY24 PROJECTED SHIP INACTIVATION SCHEDULE (UPDATED COPY) https://www.mynavyhr[...] 2024-03-11
[48] 간행물 USS Hué City Decommissioned After 31 Years of Service https://www.navy.mil[...] United States Navy 2022-09-23
[49] 간행물 USS Anzio Decommissioned After 30 Years of Service https://www.navy.mil[...] United States Navy 2022-09-22
[50] 웹사이트 Guided-missile destroyer USS Vicksburg decommissioned in Norfolk https://www.stripes.[...] 2024-07-03
[51] 간행물 USS Vella Gulf (CG 72) Decommissioned https://www.navy.mil[...] United States Navy 2022-08-04
[52] 간행물 USS Port Royal Decommissions during Pearl Harbor Ceremony https://www.navy.mil[...] United States Navy 2022-09-29
[53] 뉴스 Meeting the Challenge of China’s New Fleet: U.S. to Begin Development of Next Generation Heavy Cruiser https://militarywatc[...] 2020-02-17
[54] 뉴스 Report to Congress on DDG(X) https://news.usni.or[...] 2022-01-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